Search
🐼

스마트 동물원 솔루션 ‘i-Won’

상태
완료
날짜
2024/12/31 → 2025/02/05
Tools
Python
Figma
Object Detection
Canva
프로젝트 세부 내용
DX 4조 발표자료.pptx
4 more properties

프로젝트 개요

Preview
프로젝트명 : 동물원 AI 어시스턴트 솔루션 ‘i-Won’
목적 : 서울동물원(고객사)의 스마트 관리 환경을 조성하여 동물 보호와 인식 개선에 기여하고자 함
수행 기간 : 2024.12.31 ~ 2025.2.5
팀 구성 : 프로젝트 총괄 1명, 기술 PM 1명, 인프라 설계 1명, 데이터 분석 2명, 시스템/AI 모델 개발 2명, UX/UI 2명, 서비스 기획/설계 1명, 세부 플래너/발표 1명, PPT/디자인 2명
역할 : 데이터 분석, 서비스 기획/설계, UX/UI 디자인
핵심 기술/도구 : Python, Canva, Figma
수상 내역 : Collaboration 상 수상(팀워크 및 기획 우수성 인정)

프로젝트 배경 및 문제 정의

문제 인식
국내 동물원의 환경 문제 및 운영 비효율성
방문객 수 감소 및 여론 악화
관리 시스템 노후화로 인해 동물 및 시설 관리에 어려움 존재
시장 및 사용자 조사
동물원 인식 조사
설문조사 및 인터뷰 (방문객 50명 대상 조사)
국내 동물원에 방문한 주기 ‘5년 넘었다’ 가 약 33% 로 가장 많음 → 동물원 방문객 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문제 확인
동물원 방문 시, ‘만족, 매우 만족의 전체 비율합 40%’ → ‘보통 ~ 만족하지 않음’ 이 약 60% 으로 동물원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음
동물원 불만족 원인 조사 시, ‘동물의 건강 상태 및 사육시설 노후화’, ‘동물원 시설 노후화’의 비율이 약 92%를 차지함 → 동물원 스마트 관리 시스템 도입의 시급성을 확인
서울동물원 방문객 통계
코로나 이후 동물원 방문객수의 추이가 반등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12 ~ 1월에 (예상할 수 있듯이) 이용 빈도가 가장 낮으며, 연 총 10만 미만으로 방문한다.
마찬가지로 6 ~ 8월 하절기에 동물원 이용 빈도가 두번째로 낮으며 연 총 30만 미만으로 방문한다.
5,10월(가정의 달)에 동물원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했고, 연 총 40 ~ 50만 미만으로 방문한다.

솔루션 기획 및 데이터 분석 / AI / 챗봇

데이터 수집 및 분석과정
서울동물원 방문객 데이터 수집 및 통합(Excel)
전체 추이, 계절별 패턴 확인(Python)
IoT 통합 관리 시스템 솔루션 설계
IoT 디바이스(Radionode 제품 제휴) 기반 온습도, 공기질 센서 활용 → 환경 자동 관리 및 제어
혼잡도 탐지 모델(AI) 서비스 개발
스마트CCTV 내 혼잡도 탐지 모델(Roboflow, Yolov8, Polygon 영역 설정)서비스 제공
혼잡도 탐지 모델 개발 및 IoT 통합 관제 대시보드
동물사 정보 제공용 키오스크 및 챗봇 서비스 - ‘Ani-Chat’
고객사의 핵심 고객층 ‘어린이 및 청소년’ 맞춤 챗봇(RAG + LLM) 탑재 키오스크

프로젝트 성과 및 협업 경험

1.
비즈니스 가치
a.
비용 절감과 지속 가능한 동물원으로서의 입지 선점
i.
정량적 효과
연 방문객 수 약 5% 증가 예상
운영 비용 최대 10% 감소 예상(IoT 통합 관제 도입)
혼잡도 탐지 기반 안전 사고 예방(상주 인력 절감, 사고수 감소 등)
ii.
정성적 효과
동물원 혁신거점센터로서 입지 확보
동물원 고객사 및 방문객 만족도 향상 및 인식 개선
고객 맞춤 정보 전달로 교육 효과 제고
2.
팀워크 & 협업 성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바탕으로 서비스 기획 및 개발 협업
Collaboration 상 수상(협업 우수상 인정)

향후 발전 방향 및 프로젝트 회고

 향후 발전 방향 및 계획
 프로젝트 회고
명확한 역할 분배를 바탕으로 약 한 달간 ‘아이디어 기획 → 시장 분석 및 자료 조사 → 데이터 분석 및 인사이트 도출 → 서비스 개발 및 인프라 설계 → UX/UI 프로토타입 설계’ 의 전과정을 차질 없이 기한에 맞춰 완성할 수 있었다
이전에 맡아보지 못했던 서비스 기획, UX/UI 역할을 수행하며 협업 과정에서 유관 부서의 입장을 보다 직접적으로 느껴볼 수 있었던 경험이 되었고 Figma, Canva 등과 같은 디자인 툴에 익숙해질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아쉬웠던 점은 초반 팀원의 개별적인 역량을 모르는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역할이 분배가 되었고, 이로 인해 초반에 진행 속도에 차질이 생기는 순간이 있었다는 점과 체계적인 타임 키퍼, 명확한 업무 분배와 피드백 과정이 있었다면 보다 많은 자료 조사와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