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계산식, 세부 계산식, 테이블 계산의 고급 계산을 살펴보도록 하자.
세부 수준 계산식
{INCLUDE | EXCLUDE | FIXED [차원]… : 집계식([측정값]) }
화면상의 세부 수준과 관계없이 계산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
•
고객 당, ~당 계산이 필요한 경우
•
집계를 다시 집계해야 되는 상황
•
집계 결과를 기준으로 구간을 나눠야 하는 경우
•
뷰에서 보고 있는 수준보다 아래 또는 위 수준에서 계산 결과를 만들어야 하는 경우
ex 1. 유입 시점별 고객 매출 기여도 : 2014년도에 처음 구매한 고객이 2017년 매출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나?
•
첫 구매일부터 구해야 된다. → ‘주문 일자’ 를 활용해서 계산 필드를 만들자
◦
고객당 MIN(주문일자) 를 계산해야 되기 때문에 결국 위의 세부 수준 계산식을 사용해야 된다.
각 연도별로 2014년 첫 구매한 고객, 2015년 첫 구매한 고객, 2016년 첫 구매한 고객, 2017년 첫 구매한 고객의 매출 비중을 확인할 수 있다.
•
‘퀵 테이블 계산 → 구성 비율 → 다음을 사용하여 계산 → 테이블(아래로)’ 를 설정해주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ex 2. 주문당 평균 매출 금액
그냥 행에 주문 번호, 열에 평균(매출) 을 넣게 되면 주문당 평균 매출 금액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전체 매출합계를 레코드 수로 나온 금액이 나오게 된다. 하지만, 하나의 주문 당 레코드 수가 1개가 아닌, 주문 상품의 개수에 따라 레코드 수가 생기기 때문에, 이렇게 계산하게 되면 의도했던 주문당 평균 매출 금액이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주문당 평균 매출액을 알고 싶다면 세부 수준 계산식을 사용해야 한다.
위의 식처럼 계산 필드를 만들어 준 뒤, 마크 → 텍스트 필드에 넣어준다. 그 다음, 집계 수준을 평균으로 바꿔주게 되면 의도했던 주문건수당 평균 매출금액을 구할 수 있다.
테이블 계산
기존 수치값을 행에 가져왔을 때, 집계가 되는데 그 결과 위에 한번 더 추가 계산을 실행하는 것을 테이블 계산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산들은 퀵 테이블 계산 에서 사용할 수 있다.
1.
정렬
기록 수익 : 분기 별 수익이 최대 수익일 때 확인하기
•
RUNNING_MAX 테이블 계산 함수 사용하기
누계값에서 최대값을 구해준다. → 즉, 각 분기별 최댓값이 아니라, 전체 분기 중에서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텍스트에 입력된 max값이 기록수익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계산 필드를 만든 뒤에
해당 필드를 마크 - 색상 필드 에 넣어주자. 그러면 다음과 같이 나오는데
라인이 아니라 원으로 변경해주면
다음과 같이 훨씬 한눈에 보기 쉽다.
과제
1. 테이블 계산식 - 차이
주식 데이터를 가지고 전일 대비 종가가 상승했는지 하락했는지 나타내는 차트를 그려보자.
2. 테이블 계산식 - 구성비율
시도별 매출 구성비율을 살펴보자.
수도권만 선택하게 되면 전체 수도권의 비율에서 매출 비중이 표시된다.
3. 세부수준 계산식(LOD) : 전국 기준 매출 구성비율 구하기
세부수준 계산식을 이용해 지역 기준 / 전국 기준 매출 구성비를 함께 살펴보자.
전국 기준 매출 구성 비율을 구하려면 “시도 매출의 합계 값”을 “전국 매출의 합계 값”으로 나눠야 한다.
시도 기준 매출 비율과 전국 기준 매출 비율을 함께 나타내는 시각화를 나타내 보자.
1.
먼저 fixed 함수를 이용해서 “전국 기준 매출” 계산식을 만들자
4. 세부 수준 계산식 : 과거 고객 매출 기여도 및 신규 유입 고객 현황 분석
2015년에 첫 구매가 발생한 고객이 2018년도 까지 얼만큼 매출에 기여하고 있을까?
고객의 충성도와 신규 유입 고객 현황을 살펴 보자.
[추가 도전] 코호트 분석
최초 구매가 일어난 후, 두번째 구매가 발생하기까지의 기간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시각화 해봅니다.
•
고객별 최초 구매일은 구했다. 2번째 구매일은 어떻게 구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