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
온라인 사업 : 6가지 사업 모델
◦
전자상거래
◦
saas(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 gmail, 드롭박스, 네이버 클라우드,slack, zoom,…
▪
장점 : 시간과 비용 절감, 확장성과 유연성, 업데이트
▪
클라우드 서비스란?
▪
종류
•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인터넷에 보관할 수 있고, 어디서든 불러올 수 있게 제공하는 서비스 →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
•
협업툴 : slack, zoom, …등등
•
고객 응대 솔루션
◦
모바일 앱
◦
미디어 사이트
◦
사용자 제작 콘텐츠
◦
양면 마켓플레이스
•
스타트업 사업 단계
◦
공감 단계
◦
흡인력 단계
◦
바이럴 효과 단계
◦
매출 단계
◦
확장 단계
다양한 지표
좋은 지표란?
•
좋은 지표는 비교 가능하다.
◦
‘지난주보다 전환율이 증가했다’ 가 ‘전환율이 2%이다’ 보다 좋은 정보다.
•
좋은 지표는 이해하기 쉽다.
•
좋은 지표는 비율로 표현된다.
◦
비율은 행동에 반영하기 쉽다
◦
비율은 비교의 속성이 있다
◦
비율은 다소 대조적인 요소들이나 내재된 갈등이 있는 요소들을 비교하기 좋다
◦
좋은 지표는 행동 방식을 바꾼다
올바른 지표를 선택하기 위한 다섯 가지 고려사항
•
정성적 지표 / 정량적 지표
◦
정성적 지표 : 실험이 아닌 관찰이나 경험에 의한 지표. 비구조적. 종합하기 힘듦
◦
정량적 지표 : 숫자와 통계의 형태. 구체적인 수치 제공. 정황 정보 부족
•
허상 지표 / 실질 지표
허상 지표는 행동을 바꿀 수 없다. 실질 지표를 통해 행동을 바꾸게 해야 한다.
◦
허상 지표 예 : ‘전체 가입자 수’, ‘전체 활동사용자’, ‘히트 수’, ‘페이지 뷰’, ‘방문 수’, ‘순수 방문자 수’ , ‘사이트에 머무른 시간 / 페이지 수’, ‘다운로드 횟수’, …
▪
‘페이지 뷰’ : 광고처럼 페이지 뷰가 중요한 모델이 아니라면 특별히 중요하지는 않다.
▪
‘순수 방문자 수’ : 단순 홈페이지 방문한 사람의 수. 무엇을 했고, 왜 들어왔고, 언제 떠났는지 등의 여부를 알 수 없다.
▪
‘사이트에 머무른 시간 / 페이지 수’ : 실제 인게이지먼트나 활동에 대해 알려주는 바가 거의 없음.
▪
‘다운로드 횟수’ : 다운로드 자체만으로는 실질적인 가치로 이어지지 않음. 활성화, 계정 생성 등 다른 것들을 측정해야 한다.
•
탐색 지표 / 보고 지표
◦
탐색 지표 : 추론에 기반. 아직 알려지지 않은 내용을 찾는 목적
◦
보고 지표 : 정상적. 일상적인 경영 상황 알리는 목적
•
선행 지표 / 후행 지표
◦
선행 지표 : 미래를 예측할 수 있게 조치를 취하는데 도움을 줌. 후행 지표보다 더 유용
◦
후행 지표 : 과거를 설명해줌
스타트업 초기에는 현재 지표값이 미래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 수 있을 정도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 → 후행 지표를 측정해야 함.
선행 지표가 유용하려면 일정 기간 동안 코호트 분석을 하고 여러 고객군을 비교할 수 있어야 한다.
•
상관 지표 / 인과 지표
◦
상관 지표 : 두 지표값이 함께 움직이면 상관 관계.
◦
인과 지표 : 한 지표가 다른 지표를 변하게 하면 인과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