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방법 및 절차
•
평가의 기본 절차
평가 대상 시장 선정 → 세부 단위시장 획정(market definition) → 평가지표 개발 → 자료 수집 및 측정 → 평가지표 분석 및 종합
시장 획정이란 경쟁 관계에 있는 시장군의 범위를 정하는 작업.
’상품시장 획정’ 과 ‘지리적 시장획정’ 이 존재
- 상품 시장 획정 : 상품 및 서비스의 범위를 정의
- 지리적 시장 획정 : 지리적 범위를 정의
평가 대상 시장이 완전 경쟁 시장에 얼마나 가까운지 분석하는 대표적인 분석틀은 (’구조 - 행위 - 성과’ 인) SCP 방법론을 사용
방송 시장 구분
•
방송광고시장
•
유료방송시장
•
방송채널거래시장
•
방송프로그램거래시장
장별 주제 요약
•
1장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의 배경 및 필요성 언급 + 시장획정 및 평가 방법론 기술
•
2장
방송시장의 최근 변화 동향 + 주요 방송사업자별 시장 현황 분석
•
3 ~ 6장
각 방송 시장별 경쟁 상황 분석
•
7장
OTT서비스와 방송통신 결합상품 관련 주요 현황 및 방송 시장에 대한 영향을 분석
•
8장
보고서 내용 총요약, 평가 결과를 종합해 시사점 제시
방송시장 개관 및 주요 사업자 현황
•
전체 방송시장 개관
◦
2022년도 전체 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 규모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19조 7,579억원
◦
전체 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 성장률 1.8 ~ 7.7% 사이를 왔다갔다하고 있음
◦
방송채널사용사업자(홈쇼핑 pp 포함)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 대비 0.8% 증가, 방송사업매출액 비중은 전년 대비 0.4%p 감소한 38.5%
▪
홈쇼핑을 제외한 사업매출액은 증가, 홈쇼핑 사업매출액에서 감소
◦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대비 4.2% 증가. 매출액 비중도 전년대비 0.4%p 증가
◦
SO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대비 2.7% 감소. 매출액 비중도 전년대비 0.5%p 감소
SO(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직접 사용 채널을 보유한다.
•
LG헬로비전,남인천방송 달성푸른방송을 제외한 나머지는 실시간 방송을 지원한다.
◦
위성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대비 2.9% 감소, 매출액 비중은 전년대비 0.1%p 감소
◦
2022년 기준 가구 일일 평균 tv 시청시간은 약 324분으로 전년 대비 감소세
◦
2022년 기준 지상파tv방송채널 및 일반pp의 방송프로그램 직접제작비 규모는 전년 대비 11.4% 증가
◦
2022년 기준 전체 유료방송가입자 규모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3,629만을 기록. 증가 추세를 지속하나 성장세는 둔화됨
▪
사업자별 가입자 비중은 IPTV 증가, SO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
•
지상파방송사업자 관련 주요 현황
◦
지상파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TV + 라디오)매출액 총규모는 약 4조로 전년 대비 4.2% 증가. 최근 감소세가 반전되었음
◦
방송사별 매출액 규모는 KBS 약 1조, MBC 약 8,492억, SBS 약 9,612억원으로 나타남
▪
SBS가 전년 대비 약 12% 로 큰 폭으로 상승함
◦
방송사업매출액 중 광고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
▪
현재 약 30% 를 유지하고 있음
▪
그럼에도 가장 높은 매출 비중임
◦
방송프로그램판매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반적인 증가세(현재 약 25%)
◦
지상파방송채널 재송신매출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2022년 기준 9.8%)
•
유료방송사업자 관련 주요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