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2023년도 방송시장 경쟁상황 요약

연구 방법 및 절차

평가의 기본 절차
평가 대상 시장 선정 → 세부 단위시장 획정(market definition) → 평가지표 개발 → 자료 수집 및 측정 → 평가지표 분석 및 종합
시장 획정이란 경쟁 관계에 있는 시장군의 범위를 정하는 작업. ’상품시장 획정’ 과 ‘지리적 시장획정’ 이 존재 - 상품 시장 획정 : 상품 및 서비스의 범위를 정의 - 지리적 시장 획정 : 지리적 범위를 정의 평가 대상 시장이 완전 경쟁 시장에 얼마나 가까운지 분석하는 대표적인 분석틀은 (’구조 - 행위 - 성과’ 인) SCP 방법론을 사용

방송 시장 구분

방송광고시장
유료방송시장
방송채널거래시장
방송프로그램거래시장

장별 주제 요약

1장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의 배경 및 필요성 언급 + 시장획정 및 평가 방법론 기술
2장
방송시장의 최근 변화 동향 + 주요 방송사업자별 시장 현황 분석
3 ~ 6장
각 방송 시장별 경쟁 상황 분석
7장
OTT서비스와 방송통신 결합상품 관련 주요 현황 및 방송 시장에 대한 영향을 분석
8장
보고서 내용 총요약, 평가 결과를 종합해 시사점 제시

방송시장 개관 및 주요 사업자 현황

전체 방송시장 개관
2022년도 전체 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 규모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19조 7,579억원
전체 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 성장률 1.8 ~ 7.7% 사이를 왔다갔다하고 있음
방송채널사용사업자(홈쇼핑 pp 포함)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 대비 0.8% 증가, 방송사업매출액 비중은 전년 대비 0.4%p 감소한 38.5%
홈쇼핑을 제외한 사업매출액은 증가, 홈쇼핑 사업매출액에서 감소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대비 4.2% 증가. 매출액 비중도 전년대비 0.4%p 증가
SO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대비 2.7% 감소. 매출액 비중도 전년대비 0.5%p 감소
SO(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직접 사용 채널을 보유한다.
MSO (여러 광역자치단체에 걸쳐 서비스 중인 SO)
딜라이브(경기북부)
지역별 개별 SO
금강방송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익산시)
남인천방송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연수구)
아름방송 (경기도 성남시)
푸른방송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성군)
서경방송 (경상남도 진주시, 사천시, 남해군, 산청군, 함양군, 하동군)
KCTV제주방송 (제주특별자치도 단독 SO)
KCTV광주방송 (광주광역시 동구, 북구)
JCN 울산중앙방송 (울산광역시 단독 SO)
CCS충북방송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 음성군, 괴산군, 단양군, 진천군, 증평군)
LG헬로비전,남인천방송 달성푸른방송을 제외한 나머지는 실시간 방송을 지원한다.
IPTV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대비 5.6% 증가, 매출액 비중은 전년대비 0.9%P 증가한 24.8%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텔레비전 방송이다. 일반 실시간 방송뿐만 아니라 VOD 및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며, 컴퓨터가 아니라 셋톱박스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위성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매출액은 전년대비 2.9% 감소, 매출액 비중은 전년대비 0.1%p 감소
2022년 기준 가구 일일 평균 tv 시청시간은 약 324분으로 전년 대비 감소세
2022년 기준 지상파tv방송채널 및 일반pp의 방송프로그램 직접제작비 규모는 전년 대비 11.4% 증가
2022년 기준 전체 유료방송가입자 규모는 전년 대비 1.5% 증가한 3,629만을 기록. 증가 추세를 지속하나 성장세는 둔화됨
사업자별 가입자 비중은 IPTV 증가, SO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
지상파방송사업자 관련 주요 현황
지상파방송사업자의 방송사업(TV + 라디오)매출액 총규모는 약 4조로 전년 대비 4.2% 증가. 최근 감소세가 반전되었음
방송사별 매출액 규모는 KBS 약 1조, MBC 약 8,492억, SBS 약 9,612억원으로 나타남
SBS가 전년 대비 약 12% 로 큰 폭으로 상승함
방송사업매출액 중 광고매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
현재 약 30% 를 유지하고 있음
그럼에도 가장 높은 매출 비중임
방송프로그램판매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반적인 증가세(현재 약 25%)
지상파방송채널 재송신매출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2022년 기준 9.8%)
유료방송사업자 관련 주요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