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색 표시된 시트는 대시보드에서 사용중인 시트이며, 색상 표시가 없는 시트는 대시보드에서 사용하지 않은 시트입니다.
과제 1.
1-1. 데이터 추출하기
단계1. 데이터 원본에 우클릭하여 ‘데이터 추출’을 클릭합니다.
단계2. 데이터 추출 창이 뜨면 어떤 옵션도 손대지 말고 바로 추출 버튼을 눌러서 추출로 변환합니다.
추출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원통 2개 모양으로 변경됩니다.
추출이 완료되면 통합 문서를 저장합니다.
이제는 어떤 작업을 해도 인터넷을 통해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읽어오지 않고 추출된 hyper 데이터를 사용해서 빠르게 처리됩니다.
1-2. 베스트 프랙티스 적용하기
단계1. 대시보드 살펴보기
① 각 국가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는 얼마나 되는가? 어느 나라가 더 많은가?
② 각 지역(대륙)별 확진자 분포는 어떠하며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③ 각 국가별로 확진자는 증가세인가 감소세인가?
에 대한 질문들로 만들어진 대시보드다.
시트별로 차례로 좀 더 나은 방법으로 수정해 보도록 하자.
•
‘확진자 순위’ 및 ‘사망자 순위’ 시트 개선하기
현재 표시된 차트는 오히려 국가별 비중을 보기에 좋은 차트인 것 같은데, 전세계 모든 국가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비중은 의미가 없습니다.
•
‘지역별 분포’ 시트 개선하기
국가 이름을 색상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을까요? 아니라면 색상에는 무엇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치명율(Case fatality rate)을 뜻하는 CFR 필드를 색상에 사용하면 어떨까요?
•
‘일자별 확진자 및 사망자 수’ 시트 개선하기
단계1. 적용할 기법 : 시간의 경과에 따른 트렌드 (7페이지)
영역 차트는 개별 국가의 숫자보다는 전체 합의 트렌드가 강조되는 차트 유형입니다.
마크 유형을 영역에서 라인으로 변경해 봅시다.
마크 유형을 바꾸면 차트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관찰해 봅시다.
단계2. 적용할 기법 : ‘단일 뷰의 색상 및 모양 개수 제한 (19페이지)
몇 개 국가에만 색상을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어떨까요?
이때 모든 국가별에 대한 선은 모두 표시하되, 기타 국가들은 회색으로 표시되게 합시다.
Hint! 집합을 만들고 아래와 같이 계산된 필드를 만들면 관심 국가 이외의 국가들을 기타로 모을 수 있습니다.
IF 조건에서 집합 이름만으로도 참/거짓을 구별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음에 주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