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이탈률 vs 종료율

가장 큰 차이는 세션의 차이다.
이탈은 사이트 안에서 오직 한 페이지만 조회하고 바로 나갔을 경우 발생
종료는 사이트의 특정 페이지에서 얼마나 많은 사용자들이 종료했는지를 나타냄. 즉, 사이트 페이지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이탈률과 종료율을 계산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생기는데,
이탈률은 특정 페이지로 시작한 단일 세션 중 이탈된 횟수의 비율을 센다
종료율은 특정 페이지가 포함된 모든 세션 중 특정 페이지를 마지막 페이지로 이탈한 횟수의 비율을 센다
4개의 세션에서 다양한 페이지뷰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먼저, 각 페이지별 이탈률을 파악해보면,
Page A: 이탈률 50% (Page A로 시작한 단일세션중에 한번 이탈했기 때문에 이탈률은 50%입니다.) Page B: 이탈률 0% (Page B로 시작한 단일 세션 중에 이탈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탈률은 0%입니다.) Page C: 이탈률 0% (Page C도 시작한 단일 세션 중에 이탈하지 상호작용을 이어나갔기 때문에 이탈률은 0%입니다.)
이탈률의 경우, 사이트 방문자가 처음 방문한 페이지에서 상호작용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이탈률 측정항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어서 종료율 측정지표를 파악해보겠습니다.
Page A: 종료율 33% (3번의 세션 중 1번 page A에서 종료했기 때문에 종료율은 33%입니다.) Page B: 종료율 33% (Page B도 마찬가지로 3번의 세션 중 1번 page B애서 종료했기 때문에, 33%입니다.) Page C: 종료율 66% (3번의 세션 중 2번 page C에서 종료가 일어났기 때문에 종류율은 66%입니다.)

이탈률

이탈이라는 건, 들어와서 행동을 전혀 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만약, 이탈률이 갑자기 치솟는 경우에는 보통 페이지상 오류가 발생해서 그럴 수 있기 때문에 늘 모니터링해야 하는 지표라고 한다.

이탈률을 활용해서 어떻게 품질관리를 할 수 있을까

페이지 뷰평균 세션 시간을 함께 보면 좋다.
세션 당 평균 페이지 뷰수는 가장 쉽게 방문자의 활성화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여러 페이지를 거쳐갔을 때(즉 페이지 뷰수가 많을 때) 활성화 수준이 높다고 하는데, 이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페이지뷰 수가 많다고 해서 좋은 걸까?
평균 세션 시간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웹사이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
체류 시간이 길다고 해서 전환율도 좋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