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XLOOKUP
특정 값을 찾아 해당 값과 관련된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
XLOOKUP(찾는값, 찾는범위, 반환범위, [없을경우값], [일치모드], [검색모드])
ex) 고객 ID를 기반으로 이름이나 주소 가져오기
=XLOOKUP(B2, 고객ID범위, 고객이름범위, "없음")
Plain Text
복사
2. INDEX & MATCH
특정 행·열의 교차 데이터를 정확히 찾아 반환할 때 활용 (VLOOKUP의 상위호환)
INDEX(반환범위, MATCH(찾는값, 찾는범위, 0))
ex) 사번을 입력하면 급여를 반환
=INDEX(급여범위, MATCH(A2, 사번범위, 0))
Plain Text
복사
3. SUMPRODUCT (SUMPRODUCT)
두 개 이상의 배열을 곱한 뒤 합계를 구하는 함수로, 조건별 합계에 매우 유용
SUMPRODUCT(배열1, 배열2, ...)
ex) 상품별 가격×수량의 합계 산출
=SUMPRODUCT(가격범위, 수량범위)
Plain Text
복사
•
조건을 포함한 합계 계산
=SUMPRODUCT((제품범위="사과")*(지역범위="서울")*금액범위)
Plain Text
복사
4. SUMIFS (SUMIFS)
여러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의 합계를 계산할 때 유용
SUMIFS(합계범위, 조건범위1, 조건1, 조건범위2, 조건2, ...)
ex) 서울 지역에서 판매된 '노트북' 판매액 합계
=SUMIFS(금액범위, 제품범위, "노트북", 지역범위, "서울")
Plain Text
복사
5. COUNTIFS (COUNTIFS)
여러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함수
COUNTIFS(조건범위1, 조건1, 조건범위2, 조건2, ...)
ex) '남성' 중에서 '서울' 거주자의 수를 세기
=COUNTIFS(성별범위,"남성", 지역범위,"서울")
Plain Text
복사
6. IFERROR (IFERROR)
에러(#N/A, #DIV/0! 등)를 처리해 주는 함수
IFERROR(수식, 에러일 때 반환값)
ex) 수식 에러 발생 시 "데이터 없음"으로 표시
=IFERROR(VLOOKUP(A2, 범위, 2, FALSE),"데이터 없음")
Plain Text
복사
7. OFFSET (OFFSET)
기준 셀에서 지정한 만큼 이동하여 범위를 동적으로 설정할 때 유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