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집계가 되어 있는 집계값에서 다시 한번 집계를 하게 되면 테이블 계산식 이라고 부른다.
방법은 3일차에 본 것과 같이 계산된 필드 만들기 로 만들 수 있다.
전체가 아닌 테이블 계산 을 선택 → 평균을 구하고 싶다면 WINDOW_AVG 를 클릭
•
패널을 기준으로 집계하고자 한다면 테이블 계산을 해주고 난 집계변수에
오른쪽 클릭 → 테이블 계산 편집 → 패널 옆으로 를 선택해주자
테이블 계산식은 결국 집계를 기반으로 범위와 방향에 따라 합계, 누계, 순위, 구성비율, 선/후행 비교 등을 시각화할 수 있다.
ex 2. 전달 대비 얼마나 증가/감소 했는지 차이값을 구해보고자 한다.
위의 합계(매출) : 집계값을 재이용해서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합계(매출 집계값 복제 + 행 옆에 넣기 → 오른쪽 클릭, 퀵 테이블 계산 → 차이 클릭
이때, 자동으로 이전달 기준으로 차이를 계산해주는데,
Daily 과제
1.
라인 차트
도시대기 미세먼지 데이터와 빅맥 지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각화를 이용해 “시간 분석”을 해봅니다.
보통 시간 관련된 분석을 할 때는 트렌드를 살펴보는데 유용한 라인차트를 자주 사용하는데요.
라인차트 이외에도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시각화는 다양합니다. 아래 과제를 통해서 한 번 살펴보자.
ex1 ) 라인차트를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월 별 미세먼지 평균 지수를 한 번 살펴보자.
•
라인차트를 만들 때 태블로는 기본으로 ‘년’을 기준으로 라인 차트를 그린다.
→ 위의 라인을 만들려면
클릭 → 기준을 ‘월’ 로 변경해주자.
2.
하이라이트 테이블
하이라이트 테이블을 이용하여 텍스트에 색상을 추가로 표현하면 여러 값의 패턴을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
3.
테이블 계산식을 이용한 시간 분석
Dollar Price를 이용해서 2000년도 대비 2020년도의 빅맥 가격이 국가별로 얼마나 상승했는지 비교해보려고 하는데요.
빅맥 가격 상승 폭을 비교할 때 단순히 가격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가격 상승 비율을 통해서 어느 나라 빅맥 가격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는지 살펴봅시다!
예를 들어, A국가에서는 2000년도에는 500원 이던 빅맥이 1000원으로 올랐다면 100% 증가, B국가에서는 1600원 이었던 것이 2000원으로 올랐다면 25% 증가했겠죠. 그렇다면 A국가의 빅맥 가격이 작더라도 A국가는 더 많은 가격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을텐데요. 이와 같은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시각화를 나타내보자.
4.
덤벨 차트
덤벨차트를 이용해서 연도 별로 최소 빅맥 가격과 최대 빅맥 가격의 차이 변화를 한 눈에 살펴보자.
•
여러 개의 측정값을 하나의 축에 표현하기 위해서는 ‘측정값’을 이용해야 한다.
→ “열”에 “측정값”을 가져다 놓고 , “측정값 이름”을 필터로 걸어 표현하고자 하는 측정값만 체크해 준다.
→ 측정값 선반에 있는 “Dollar Price”의 집계 형식을 “최소값”으로 변경해서 빅맥 최소 금액으로 설정해준다.
→ 측정값 선반에 “Dollar Price”를 한 번 더 가져다 놓고 집계 형식을 “최대값”으로 변경해서 빅맥 최대 금액을 설정해준다.
→ 마크의 형태를 “원”으로 표현하고, 마크의 색상은 “측정값 이름”으로 구분한다.
→ 열에 있는 “측정값”을 옆으로 복사해서 2개의 측정값이 보이도록 만든다.
→ 복사된 측정값의 마크 형태는 “라인”으로 변경한다. 색상에 있는 “측정값 이름”을 “경로”로 옮긴다.
→ 2개의 축을 이중축으로 만든다. 이중축 후 축을 동기화 시킨다. (축 오른쪽 마우스 클릭 → 이중 축 → 동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