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7일차 - 차트

범프 차트

라인 차트의 일종으로 시간 흐름에 따른 순위 변화를 보여준다.
날짜에 따른 순위 차트를 그릴 때는 날짜가 반드시 불연속형이어야 한다.
1.
퀵 테이블 계산 → 순위 클릭
2.
다음을 사용하여 계산 → 순위를 매기고자 하는 변수
3.
마크에 라인으로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
ex) 분기별 판매 상품 순위 변동을 차트 형태로 살펴보자.
아래와 같은 두 단계를 거쳐 범프 차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에도 두 개의 뷰를 만든 후 “이중 축”을 통해 하나로 합쳐 주는 원리랍니다.
(1) 순위를 라인 차트로 표현한다.
(2) 순위를 원 마크 타입으로 표현한 후 이중 축으로 라인 차트와 겹쳐준다.
중요한 것은 퀵 테이블 계산에서 다음을 사용하여 계산 → 중분류 를 선택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 왼쪽의 축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축 편집 > 눈금 > 반전” 을 체크한다.
왜 이 단계가 필요할까?
보통 측정값(ex. 매출, 수익 등)의 라인 차트는 내림차순으로 축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순위의 경우, 1위부터 보고 싶기때문에 축을 반전시켜서 오름차순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랍니다.
자 라인 차트는 완성되었으니 각 지점마다 원을 만들어서 순위를 써 보자.

워터폴 차트

특정 측정값(대개 양수와 음수 값이 있는)이 하나의 차원을 따라가며 누적되는 것을 보여준다
차원의 각 멤버와 누계값의 관계를 보여주는데, 각 멤버가 총계값에 대해서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양수로도 음수로도 나타낼 수 있다.
1.
시간에 따른 측정값이라는 기본 뷰에서 시작한다. → 라인 차트로 시작
2.
측정값을 누적값으로 바꾼다. 퀵 테이블 계산 → 누계 클릭
3.
마크 타입을 간트 타입으로 바꾼다.
4.
측정값의 마이너스 값으로 계산된 필드를 만든다.
a.
측정값 변수 우클릭 → 만들기 → 계산된 필드 클릭 → ‘-’ 부호를 붙이고 확인
5.
계산된 마이너스 측정값을 마크 → 크기로 옮겨넣는다.
6.
기존의 측정값을 마크 → 색상에 옮겨넣는다.
ex) 월별 수익을 워터폴 차트로 살펴보자.
1.
먼저 주문 날짜 데이터를 불연속형 형태로 열에 넣는다.
2.
측정값 변수를 헹에 넣는다.
3.
기본적으로 워터폴 차트는 누계값의 변화를 보는 것이기 때문에 집계 방식을 누계로 바꿔준다.
a.
퀵 테이블 계산 → 누계
b.
다음을 사용하여 게산 → 테이블 전체
4.
마크 형식을 간트 타입으로 변경 후, 측정값 변수를 다시 마크 - 크기 에 넣어준다.
a.
이때, sum(측정값) 이 아닌 -sum(측정값) 으로 변경해준다.
5.
측정값 변수를 다시 마크 - 색상 에 넣어준다.
a.
전체 수익의 합계를 함께 나타내고 싶다면 분석 탭 → 총계행 총합계 로 넣어서 표시해준다.

시간 단위의 간트 차트

1.
계산된 필드 만들기 → (DATEDIFF(’second’, 시작날짜, 끝 날짜)) / 86400
a.
시간 단위를 만들었음
2.
날짜 필드를 열에 놓고, 우클릭 → Exact Date 클릭
3.
차원값 필드를 행 열에 놓기
4.
x축 행 편집 → 고정 클릭, 시작점을 원하는 초기 시간으로 설정
tick marks → major : 고정 클릭, 매 5분 간격으로 설정 , 시작점 원하는 초기 시간으로 설정
minor : 고정 클릭, 매 1분 간격으로 설정, 시작점 위의 major 과 동일하게 설정
5.
차원값 필드를 다시 색상 마크에 놓고
6.
지속 시간 측정값 필드를 마크 - 크기에 넣기
7.
위의 2번과 4번을 다시 한번 반복하고, 지속 시간 측정값 필드(마크-크기에 있는) 는 제거해주기
a.
간트 차트에서 → 모양으로 변경해주고, 차원값 필드를 마크 - 모양에 넣어주기
8.
이중축으로 설정해주기 + X축 동기화 해주기
9.
머릿말 제거해주기
ex) 매장 별 오픈 시간과 마감 시간, 영업시간을 한 눈에 살펴보는 시각화를 만들어보자.
1. 영업시작시간 필드를 이용해 X축(열)이 “분”으로 표현되게 해주자.
정확한 날짜 로 설정해주면 시 ~ 분으로 표시된다.
“분”은 “연속형”으로 나타내야 한다.
2.
막대의 크기에 영업시간을 놓으면 각 매장 별 영업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퍼널 차트

퍼널 차트의 목적은 몇 명의 잠재고객이 영업 퍼널의 각 단계에 위치하고 있는지, 또는 몇 명의 지원자가 인터뷰의 어떤 과정을 거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때 쓰인다.
1.
잠재 고객 수 의 측정값을 행에 넣고 퍼널 단계 변수를 색상 마크에 넣어준다
2.
잠재 고객 수 측정값을 다시 마크 - 사이즈에 넣는다.
3.
보기를 전체 보기 로 변경해서 보면 깔때기 모양에 가까워진다.
[조금 더 우아한 모양의 퍼널 차트]
1.
잠재 고객 수 의 측정값을 열에 넣고 퍼널 단계 변수를 행열에 넣는다. (+ 내림차순 정렬)
2.
마크 유형을 영역 으로 바꾸고 전체보기로 설정한다.
a.
깔때기 모양을 대칭으로 만들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i.
잠재 고객수 를 음수로 만든 계산 변수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깔때기 반대쪽을 채워주면 된다.
ii.
반대쪽을 채워줄 때는 기존 열 왼쪽에 해당 변수를 넣어주면 된다.
ex) 사용자의 단계별 이탈율 혹은 전환율을 보여주는 퍼널 차트를 작성해보자.
앱 impression (노출)부터 install (설치)까지 상황을 퍼널로 시각화 해보자.
1. “측정값”을 열 선반에 가져다 주세요.
2. “측정값 이름”을 행 선반에 가져다 주세요.
3. “측정값 이름”을 필터에 가져다 놓고 필요한 측정값만 선택해주세요. (Impressions, Taps, Installs)
4. 화면을 “전체 보기”로 변경해주세요.
5. Impressions, Taps, Installs 순으로 액티비티가 발생하니 측정값의 순서를 변경해 주세요.
6. 마크의  형태를 영역으로 변경해주세요.
7. 퍼널의 반쪽이 완성이 됐네요. 이제는 느낌이 오시죠? 열 선반에 있는 측정값을 Ctrl키를 누르신 상태로 옆으로 드래그 해서 복사해 주세요!
8. 왼쪽에 있는 퍼널을 돌려주면 우리가 원하는 깔때기 모양이 될 것 같습니다. 왼쪽 측정값의 축에서 “더블클릭” 후, 눈금에서 “반전”을 선택해 주세요.
9. 오른쪽 측정값 쪽에 레이블을 표시해주세요!

도넛 차트

ex ) 연도별로 고객 세그먼트별 매출 비중을 확인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주문 날짜(연도, 불연속형) 를 열에 넣는다.
2.
마크 형식을 파이 차트로 변환한다.
3.
고객 세그먼트 필드를 마크 - 색상에 넣는다.
4.
매출 측정값을 마크 - 각도에 넣는다.
이제, 파이차트 안에 작은 원을 넣어, 도넛 차트만 만들어주면 된다.
1.
작은 원을 만들 임의의 축을 형성해준다.
기존에 만든 파이 차트에 MIN(0)(또는 AVG(0))으로 기준 축을 만듭니다.
행 선반 위의 빈 공간을 더블 클릭한다.
계산식을 바로 입력할 수 있는 빈 알약이 생긴다. 이렇게 간단한 계산식은 선반 위에 바로 입력할 수 있는데요. 여기에 MIN(0)을 입력한다.
하나의 축이 생성된다.
2. 파이 차트와 합칠 원을 위한 축을 만들어준다.
방금 만든 행 선반 위 MIN(0) 옆에, 다시 한 번 더블 클릭한 후 MIN(0)을 하나 더 만들어 주자.
마크 타입을 원으로 바꾸고, 색상에서 세그먼트를 빼고 흰색으로 지정해주자.
세부 정보에 있는 매출레이블로 이동시켜 주세요. (레이블을 편집하셔서 TOTAL SALES 라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넣어주자. + 레이블의 위치도 설정)
이중축 설정, 머리글 표시 제거

날짜 함수

파레토 차트

차원의 항목 몇 개가 전체 측정값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 볼 때 사용한다.
차원의 고유 카운트 및 측정값에 대해 테이블 계산을 사용해서 누계에 대한 구성 비율을 구하면 된다.